배틀그라운드가 누적 판매량이 2000만장이 넘었습니다. 그리고 동접또한 250만명을 넘겼습니다. 처음 배틀그라운드를 안게 된거 H1Z1를 하고 있던 중에 베타로 비슷한 게임을 한다고 들어서 베타를 신청했던 기억이 납니다. 물론 시간이 나지 않아서 베타에 당첨 되고 스팀에 등록까지는 했지만 똑같은 스타일일듯 해서 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지금 배틀그라운드가 H1Z1보다 동접, 판매량을 월등히 뛰워넘었습니다. 늦게 나온 만큼 후발주자 라는 인식이 있어서 대부분 익숙한 게임을 즐기는데 배틀그라운드의 장점을 잘 어필한 듯 합니다. 오늘 배틀그라운드만 하다가 H1Z1를 해보니 그래픽면에 차이가 너무 많이 나네요. H1Z1 제작사가 회사가 이리저리 팔리고 해서 개발에 집중하지 못한 상태여서 업데이트가 원활하지 않았..
토탈워 아레나 주말한정 공개 테스트 후기를 한 후에 나름 재밌어서 기다리다가 월요일에 트위치에서 하는 토탈워 아레나를 하는걸 보게 되었습니다.보면서 나름 비공개 테스트 참여권을 받으려고 애썼지만 엄청 적게 뿌리더군요. 보는 사람이 800명 넘었는데 몇십장을 뿌리는거 같았고 경쟁이 너무 치열해서 포기 했습니다. 그러다 할 방법을 찾아보니 프리미엄을 결제 하면 비공개 테스트 참여권을 주더군요. 워게이밍 프리미엄 결제 하는건데 여기서 초보자 패키지를 구매해서 참여권을 얻었습니다. 1200골드와 30일 프리미엄(돈, 경험치 +50%)를 주기 때문에 오픈 베타 이후에도 혜택을 다시 받을수 있습니다. 원래는 얼티밋 패키지가 끌렸는데 해당 골드 유닛을 괜히 컨트롤 못하고 좋은 유닛인지 판별을 할수 없었습니다. 어쨌건..
티스토리 초대장 보내드립니다. 간단하게 댓글로 어떤 블로그를 할 지 적어주세요. 마감되었습니다. 다 드리지 못해서 아쉽네요. 이렇게 반응이 폭발적일지 생각도 못했네요.그럼 다음에도 초대장 받게 되면 보내드리겠습니다.
배틀그라운드 동접을 실시간으로 확인 할수도 있고 그 동안의 동접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https://steamdb.info/app/578080/graphs/ 글 쓴 시점 동접이 110만명 정도 되고 일 최대 동접은 240만명 이상이 되네요.엄청 많은 유저들이 하고 있고 일주일동안 동접도 표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외에 패키지를 판매량도 알수 있으니 유용한 사이트 입니다.아직 얼리엑세스 버전이고 29.9달러(32000원) 임에도 이렇게 인기 있으리라 생각 못했네요. https://steamdb.info/app/578080/graphs/
자바 AES 샘플 예제 입니다. encrypt(String message) decrypt(String encrypted) 위의 함수를 호출 하기만 하면 되어서 사용법은 쉽습니다. key 값은 암호화에 필요한 키이니 적절하게 변경 하시면 됩니다. AesUtil au = new AesUtil(); au.encrypt("test암호문"); au.decrypt("adndsfosdfsdf복호화"); import javax.crypto.Cipher; import javax.crypto.spec.SecretKeySpec; import org.apache.commons.lang.StringUtils; public class AesUtil { public static String key = "092745452109784..
https://steemit.com/@wipi/2gmgm8 스팀잇으로 해당글을 옮겼으니 여기서 접속해서 보세요.
넷플릭스에서 볼만한 미드를 추천하고자 합니다. 하우스오브카드, 데어데블, 제시카 존스, 루크 케이지, 아이언피스트, 디펜더스 등은 넷플릭스를 대표하는 미드이니 따로 이야기 하지 않겠습니다. 제가 넷플릭스에서 본 것 중에 아무 생각없이 시간 때우려다가 본것을 추천합니다. 1. 시간여행자https://www.netflix.com/title/80105699 시간여행자라는 미드인데 딴 이유 없고 시간여행 시리즈이여서 그냥 1회만 봐보자는 식으로 본건데 생각보다 재밌어서 시즌1을 전부 재밌게 봤습니다.시간여행을 하는데 시간을 완전히 과거로 가는게 아니고 미래에 있는 사람들이 정신만 과거로 가서 사망할 사람들의 정신으로 대신 들어가서 행동하게 됩니다. 주인공 5명이 미래에 끼칠 사건들을 막기도 하고 행성의 충돌을 ..
리니지 사행성 논란은 리니지 나올때 부터 있었고 리니지M이 나오면서 다시금 사행성 논란이 일었습니다. 리니지M이 나오기 전에는 리니지1에 대한 캐쉬정책에 듣기는 했지만 설마 그랬을까 하는 의구심이 들었습니다. 왜냐하면 리니지1은 국내에서는 아직도 월정액 29,700원을 내는 게임이니깐요. 그러나 리니지M이 그 캐쉬정책을 그대로 이어져 왔고 중간 중간 캐쉬 상자를 팔며 매출을 크게 올렸습니다. 상자 나올때마다 BJ들이 몇백만원씩 상자를 까며 대박을 노리고 또한 시청자들도 내심 대박을 기원하면서 어느 순간부터 도박적인 요소가 크게 작용했습니다. 저 역시 리니지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의견이 있었지만 리니지M 출시 되면서 이번 참에 해보자는 심정으로 하다가 무과금으로 하기에는 내심 자존심 상해서 효율적인 기본 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