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 이오스를 대표하는 단어는 스마트 컨트랙트 입니다.
상호간의 스마트한 계약을 블록체인 안에 기록하는게 스마트 컨트랙트입니다.
개념은 상당히 복잡한데 왜 스마트 컨트랙트를 쓸까요?
그런 의미에서 아래 주사위 게임으로 예시를 들겠습니다.
여기는 이오스 기반 주사위 사이트인데 스캐터로 로그인을 하면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단의 게이지를 이동을 하면 2~95까지 이동 가능하고 그에 타라 배당률이 틀려집니다.
1, 2가 나오면 무려 98배의 이득을 얻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95 미만 숫자가 나오면 1.04배를 받게 됩니다.
이러한 게임은 분명 도박성은 있지만 확률로 토대로 만든 주사위 게임입니다.
여기서 부터가 중요한데 명백한건 이걸 스마트 컨트랙트로 한게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이러한 게임은 기존 방식으로도 개발자라면 로직을 만드는데 애를 쓰겠지만 만들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걸 서비스 할 수 있습니다. 만든데에서 아주 공평한 주사위 게임이라고 말하겠지만 기존 방식은 그걸 입증할 방법이 없습니다
예를 들면 30으로 설정을 하면 3.38배를 벌게 됩니다. 확률은 30% 정도 됩니다.
만약에 제가 개발 했다면 3배를 벌게 해주니 확률이 30%가이닌 10%로 조정되게 만들것입니다.
아무리 정직하게 로직을 짠다고 해도 그걸 상대방이 알지 못한다면 그걸 지킬 이유가 없습니다.
그러나 스마트 컨트랙트는 다릅니다.
이러한 로직 안에서 다른 로직이 개입될 여지가 없고 한 번 올린 컨트랙트를 활용해서 주사위 게임을 해서 누구나 신뢰할 만한 주사위 게임이 됩니다.
그것이 스마트 컨트랙트 핵심입니다. 이런 간단한 주사위 게임 조차도 신뢰성이 확보 되는 것입니다. 개발사에 소스까지 공개 해서 해당 로직에 대한 신뢰성을 높여줍니다.
그렇더라도 실제로 게임을 즐길시에 조급해져서 손실을 볼수도 있습니다.
이론적으로 로직에 대한 신뢰성이 있고 공평한 게임이라는 겁니다.
예전 방식에서 이러한 주사위 게임은 개발한 쪽에서 조작한게 아닐까 하는 의심 먼저 들었겠지만 어느 누군가 개입 할 여지가 없는게 스마트 컨트랙트 입니다.
그러니 스마트 컨트랙트에 대한 개념을 잡았으면 합니다.
ChatGPT, 블록체인, 자바, 맥북, 인터넷, 컴퓨터 정보를 공유합니다.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